프로야구, 10년 만에 3점대 평균자책점 기록 나올까

보증업체   |   이벤트

프로야구, 10년 만에 3점대 평균자책점 기록 나올까

주소모두 0 287 2022.09.20 14:03

19일까지 2022시즌 리그 평균자책점 4.08…10개 구단 체제 최저 기록

리그 평균자책점 1위 LG 트윈스 선수단
리그 평균자책점 1위 LG 트윈스 선수단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국내 프로야구는 2000년대 이전까지 투고타저(投高打低) 현상이 짙었다.

KBO리그 태동기였던 1980년대는 단 한 시즌도 빠짐없이 3점대 리그 평균자책점을 찍었고, 1990년대에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20세기 KBO리그는 팀당 평균 3~4점 정도의 점수를 내는 '짠물 야구'였다.

많은 점수가 나오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이후다.

1998년 외국인 선수 제도를 도입한 프로야구는 외국인 타자들의 활약과 국내 타자들의 타격 기술 진보 등으로 타고투저 현상이 일기 시작했다.

2000년 이후부터는 매해 4점대 리그 평균자책점을 찍었다.

21세기 KBO리그에서 시즌 3점대 평균자책점이 나온 건 손에 꼽을 만큼 적다.

2006시즌(3.58)과 2007시즌(3.91), 2012시즌(3.82) 등 총 3시즌뿐이다.

프로야구 10개 구단 체제가 확립된 이후엔 단 한 번도 3점대 리그 평균자책점이 나온 적이 없다.

이런 가운데 올 시즌 프로야구는 10년 만이자 10개 구단 체제 처음으로 3점대 리그 평균자책점을 기록할 가능성이 생겼다.

올해 KBO리그는 총 720경기 중 649경기를 치른 19일 현재 리그 평균자책점 4.08을 기록 중이다.

2022시즌 남은 71경기 결과에 따라 10년 만에 3점대 리그 평균자책점을 찍을 수도 있다.

올 시즌 프로야구는 스트라이크존 정상화에 따라 투고타저 현상이 일어났다.

예년과 비교해 스트라이크존 바깥쪽이 살짝 넓어지면서 투수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

리그가 진행되면서 스트라이크존은 자연스럽게 재조정됐고, 타자들이 이에 적응하면서 투고타저 현상은 무뎌졌다. 그러나 투수들이 득세하는 큰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

올 시즌 팀 평균자책점 1위는 3.43의 LG 트윈스다.

LG가 현재 팀 평균자책점을 올 시즌 끝까지 유지하면 2012년 삼성 라이온즈(3.39)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게 된다.

[email protected]

Comments